수의 단위
수(數의) 단위
1. 큰 수
일(一) : 1
십(十) : 일의 1십 배. 1뒤에 0이 1개. 과학표기 데카(deca)
백(百) : 십의 1십 배. 1뒤에 0이 2개. 과학표기 헥토(hecto)
천(千) : 백의 1십 배. 1뒤에 0이 3개. 과학표기 킬로(kilo)
만(萬) : 천의 1십 배. 1뒤에 0이 4개. 과학표기 메가(mega)
억(億) : 만의 1만 배. 1뒤에 0이 8개. 과학표기 기가(giga)
조(兆) : 억의 1만 배. 1뒤에 0이 12개. 과학표기 테라(tera)
경(京) : 조의 1만 배. 1뒤에 0이 16개. 과학표기 페타(peta)
해(垓) : 경의 1만 배. 1뒤에 0이 20개. 과학표기 엑사(exa)
자(秭) : 해의 1만 배. 1뒤에 0이 24개. 과학표기 제타(zetta)
양(穰) : 자의 1만 배. 1뒤에 0이 28개. 과학표기 요타(yotta)
구(溝) : 양의 1만 배. 1뒤에 0이 32개
간(澗) : 구의 1만 배. 1뒤에 0이 36개
정(正) : 간의 1만 배. 1뒤에 0이 40개
재(載) : 정의 1만 배. 1뒤에 0이 44개
극(極) : 재의 1만 배. 1뒤에 0이 48개
항하사(恒河沙) : 극의 1만 배. 1뒤에 0이 52개 (恒河沙 : 갠지스강의 모래)
아승기(阿僧祇) : 항하사의 1만 배. 1뒤에 0이 56개. 천사가 입은 비단옷이 사방 40리 바위를 100년에 한번 스쳐 다 닳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.
나유타(那由他) : 아승기의 1만 배. 1뒤에 0이 60개
불가사의(不可思議) : 나유타의 1만 배. 1뒤에 0이 64개
무량(無量) : 불가사의의 1만 배. 1뒤에 0이 68개
대수(大數) : 무량의 1만 배. 1뒤에 0이 72개
겁(劫) : 천지가 한번 개벽한 뒤부터 다음 개벽할 때까지의 기간. 경전에서는 사방 40리의 성(城)에 겨자씨를 가득 채운 뒤 100년에 한 알씩 꺼내어 겨자씨가 다 없어져도 1겁이 아직 끝나지 않는다고 한다.
구골(googol) : 1뒤에 0이 100개 (1938년 미국의 수학자 에드워드 카스너의 9살짜리 조카 밀턴 시로타가 지은 이름) [인터넷 검색 사이트 구글(google)이 여기서 이름을 따왔음]
센틸리온 : 10⁶⁰⁰
구골
구골플랙스 : 10¹⁰
2. 작은 수
할(割) : 0.1 가장 큰 수.
푼(分) : 할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개 0.01
리(厘) : 푼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2개 0.001
모(毛) : 리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3개 0.0001
사(絲) : 모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4개 0.00001
홀(忽) : 사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5개 0.000001
미(微) : 홀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6개 0.0000001
섬(纖) : 미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7개 0.00000001
사(沙) : 섬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8개 0.000000001
진(塵) : 사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9개 0.0000000001
애(埃) : 진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0개 0.00000000001
묘(渺) : 애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1개
막(漠) : 묘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2개
모호(模糊) : 막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3개
준순(浚巡) : 모호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4개
수유(須臾) : 준순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5개
순식(瞬息) : 수유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6개
탄지(彈指) : 순식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7개
찰나(刹那) : 탄지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8개
육덕(六德) : 찰나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19개
허공(虛空) : 육덕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20개
청정(淸淨) : 허공의 십분의 일. 소수점 뒤에 0이 21개 가장 작은 수. 먼지를 1만 번 나누고 그것을 다시 1만 번 나눈 후 또 다시 그것을 일만 번 나눈 것.
※ 큰 수의 단위는 韓.中.日 같이 사용하는 단위고, 작은 수의 단위는 원래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1푼(分)이 0.1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일본에서 할(割, 0.1)을 넣어 일본과 한국에서는 현재 割부터 사용되고 있다.
중국에서는 割이 없고 한 단위씩 올라간다. [1分이 0.1(10%)이므로 十分은 1(100%)이므로 솜씨를 십분 발휘한다고 하면 실력을 100% 발휘 한다가 된다. 어림 반 푼 어치도 없다는 한 푼의 절반(0.05. 5%)이니 대강 짐작으로 헤아려 봐도 조금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강조한 말이다]